오늘은 알아볼 내용이 바로 자바의 접근한정자입니다. 안드로이드를 공부하려면 일단 자바부터 알아야하는데요.
만약 늦게 시작하신 분이라면, Kotlin을 공부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. 이유는 구글측에서 안드로이드 공식 언어를 자바에서 Kotlin으로 변경했기 때문이죠. 그렇다고 기존에 사용하던 자바가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.
일단 자바의 protected 접근한정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접근한정자는 클래스의 속성변수 즉 전역변수, 메소드 앞에 붙을 수 있습니다.
종류로는 private, public, (default), protected가 있구요. 접근한정자답게 각 종류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파일이 한정적입니다.
접근 한정자 |
동일한 클래스 |
같은 패키지 내의 모든 클래스(상속 여부 상관없음) |
다른 패키지 |
|
상속된 클래스 |
상속되지 않은 클래스 |
|||
public |
O |
O |
O |
O |
protected |
O |
O |
O |
X |
default(한정자없음) | O | O | X | X |
private | O | X | X | X |
public : 동일패키지나 상속 관계와 상관없이 모든 클래스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.
ex) public class Box {
public int sum;
public int getSum()
{
}
}
protected : 동일한 패키지이면 상속 여부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고, 다른 패키지에서 사용하려면 상속된 클래스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.
ex) public class Box {
protected String s;
protected int getSum()
{
}
}
default(한정자없음) : 동일한 패키지이면 상속 여부에 상관없이 사용 가능합니다.
ex) class Box {
int sum;
int getSum()
{
}
}
private : 해당 클래스 내부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, 다른 경우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.
ex) class Box {
private int sum;
private int getSum()
{
}
}
참고되었으면 좋겠습니다.
'[미네르바's IT] > [미네르바's 안드로이드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안드로이드 stirng format %d %s 이용하기 (0) | 2017.07.26 |
---|---|
안드로이드 strings.xml 특수문자 삽입방법 (0) | 2017.07.25 |
안드로이드 tabhost (0) | 2017.07.21 |
안드로이드 android:stretchcolumns 및 tablelayout 속성 (0) | 2017.07.20 |
안드로이드 selector 이용하기 (0) | 2017.07.19 |